5세조(휘 弘弼) 선조님을 기록한 임란 이전의 글인 휘 윤조 선조님 묘지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련링크
본문
음성공(휘 孝字而字)의 손자요 주부공(휘 仲穉)의 아들로 백부이신 사직공(휘 仲秠)의 뒤를 이으신 증 사복시정(贈 司僕寺正) 휘 윤조(胤祖, 12世) 선조님의 묘지명을 살펴보면 우리에게 적지 않은 의미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첫째, 당대(當代)의 기록이 충분히 전하지 않는 우리 선조님(휘 胤祖)에 대한 행적을 기록한 임진왜란 이전 시기의 글이라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다만 이 글 묘지명에도 선조님의 생졸년의 기록이 보이지 않아 안타까움이 남습니다.
둘째, 우리 5世祖(휘 弘字弼字)에 대한 임란 이전의 他 姓氏 인물, 그것도 文名이 자자한 기재企齋 신광한申光漢의 저작著作이라는 점에서 그 글에 대한 신빙성은 두 말할 여지가 없습니다.
물론 이 글(휘 윤조 선조님 묘지명) 외에도 5세조(휘 弘字弼字) 님에 대해 기록한 임란(壬亂) 이전의 글이 또 있습니다. 바로 음성공의 차남(휘 仲字秬字)의 아드님이신 휘 순조順祖 선조님의 묘갈명으로 이 또한 당대의 인물로 김굉필의 문인인 모재 김안국金安國이 지었습니다. 다행히도 이 묘갈명은 우리 문중의 보배인 가승 1권에 실려 있습니다. 번역본엔 74쪽부터입니다.
증 사복시정공(휘 윤조)의 묘지명의 한문漢文 원문原文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原文과 함께 우리 홈페이지, 운영위원회 > 종사연구위원회 자료실에 옮겨놓았습니다.
한번 읽어보시기를 적극 권해 드립니다.
위의 두 글은 우리 시중공계에겐 아주 중요한 기록물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우리 5세조 선조님에 대한 임란 이전의 기록이란 점과 생존시부터 문명(文名)이 자자했던 모재 김안국 선생과 기재 신광한 선생이란 문인들이 지은 글이기에 그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합니다.
2022. 11. 6. 밤에 종사연구위원회 부위원장 대연 돈수
댓글목록
종사연구님의 댓글

휘 윤조(胤祖) 선조님의 묘지명은 우리 가승에 실려있지 않습니다. 오래 전에 찾았으나 번역작업을 해 오지 못하다가 최근에야 번역을 마치고 [종사연구위원회 자료실]에 올렸습니다. 잘못 번역된 곳이나 틀린 곳이 있으면 지적해 주시면 바로잡겠습니다. 우리 가승에 실리지 못한 선조님들께서 지으신 글이나 선조님들에 대한 글(家狀, 行狀, 墓誌銘, 墓碣銘, 敎旨 등등) 등을 모아서 [가승 보유](가칭)을 펴내고자 자료들도 꽤 찾아서 모았습니다. 이제 편집과 번역이라는 고개를 넘어야 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2022년 11월 11일
종사연구위원회 부위원장 대연 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