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아래 홀기 및 축문을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설단 홀기 및 축문

익흥군 홀기 및 축문

정간공 홀기 및 축문

 

 3. 정간공 묘사 시향 홀기(貞簡公 墓祀 時享 笏記) - 2010年 卒 第546周年 墓 祭禮 行事

 

⊙행사1.

行 諸 執事 先 再拜禮

(행 제 집사 선 재배례)

모든 집사 선 재배 예

1

執禮 以擧安 諸執事 詣盥帨位 因詣蹲所

( 집례 이거안 제집사 예관세위 인예준소 )

집례는 모든 집사자들(헌관,대축관,봉향,봉로,봉작,

전작,사준,진설)을 호명하고,

손을씻고 신주앞에 나와 손을 모으고 바로 서게 한다.

2

諸執事 跼躬 再拜

(제집사 국궁 재배)

拜→興 拜→興 平伸 因降復位

(흥→ 배→ 흥 평신 인강복위)

알자의 구령에 선 재배를 하니 무릅을 꿇고 몸을 굽히시오.

절하시오-일어나시오 절하시오-일어나시오 몸을 펴고 자기위치로 돌아가 바로 서시오

⊙행사2.

行 降神禮 (행 강신례)

강신례를 행한다

1

初獻官 詣盥帨位 因詣蹲所 跼躬

(초헌관 예관세위 인예준소 국궁)

초헌관은 손을씻고 신주앞에 나와 손을 모으고 몸을 굽히시오.

2

次詣 香案前跪 奉香 奉爐 司樽 奉酌 奠酌

(차예 향안전궤 봉향 봉로 사준 봉작 전작)

各就位斟酒于降神盞盤而跪授獻官受之三上香

(각취위 짐주우 강신잔반 이궤수헌관 수지삼상향)

집사자들은 향안앞에 무릅을꿇고 봉향은 향을피우 고, 봉로는 향로를 들고, 봉작은 강신잔을내리고, 사준은 술을따르고, 전작은 잔을 올릴 준비를하고, 헌관은 꿇어앉아 향을 세 번피우고 강신잔을 받으 시오.

3

而授執事 執事受而 酹于神位前

(이수집사 집사수이 뇌우신위전)

三傾至盡 盞盤置于 故處 又正箸于匙楪上

( 삼경지진 잔반치우 고처 우정저우 시접상)

헌관은 강신잔을 향로위를 지나 전작에게주면, 전작은 잔을받아 신주앞(묘)에 술을 세 번 기울여 붓고 신주 앞에 놓으시오.

좌 집사는 젓가락을 정좌한 다음 시접그릇 위에 올 려 놓으시오.

4

獻官及 諸執事 以下 皆就位 俛伏

(헌관급 제집사 이하 개취위 면복)

參神 再拜 跼躬(참신재배국궁)

헌관 및 모든 집 사자 이하는 재배하니 모두 나아가 엎드려 몸을 굽히시오

5

拜 →興 拜 →興 平伸 因降復位

(배 →흥 배 → 흥 평신 인강복위)

절하시오→몸을드시오, 절하시오→몸을드시오.

몸을펴고 제자리에 가서 바로 서시오

⊙행사3

行 初獻禮(행 초헌례)

처음 술잔을 올리는 예

1

初獻官 詣盥帨位 因詣蹲所 跼躬

(초헌관 예관세위 인예준소 국궁)

초헌관○○는 손을씻고 신주앞에 손을 모으고 몸을 굽히시오.

2

次詣香案 前跪 三上香

(차예향안 전궤 삼상향 )

執事 進奉祖考妣位 前 盞盤

(집사 진봉 조고비위 전 잔반)

초헌관은 신주전에 무릎을 꿇고 향을 세 번 피우고, 집사자는 할아버님, 할머님 신주앞 술잔을내려 잔반위에 올려놓으시오.

3

斟酒跪授獻官 獻官受之 除于茅上小傾

(짐주궤수헌관 헌관수지 제우모 상소경

以授執事 執事受之 奉奠于故處

( 이수집사 집사수지 봉전우고처)

초헌관은 무릅을꿇고 할아버님 술잔을들면 사준은 술을 따르고, 초헌관은 술잔을 모사위에 조금기 울이고 향로위를지나 우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술잔을받아 할아버님 신주 앞에 올리시오.

4

次奉 祖妣位前盞盤 獻官受之 亦除于茅上小傾

( 차봉 조비위전잔반 헌관수지 역제우모상소경)

以授執事 執事受之 奉奠于故處

(이수집사 집사수지 봉전우고처)

다음 초헌관은 할머님 신주앞 술잔을 모사에 조금 기울인 다음, 향로위를지나 우측집사자를 주면 집사자는 잔을받아 할머님 신주앞에 올리시오.

5

執事 進肉炙 啓飯蓋置 其南

( 집사 진육적 계반개치 기남)

扱匙于 飯中西柄 又 正箸于 匙楪上

(급시우 반중서병 우정저우 시접상)

집사자는 육적을 들어 초헌관에게 갔다 주었다 가 다시 받아 올리시오.

밥(뫼)그릇 뚜껑을 열고 뚜껑을 남쪽에 놓고, 숫가락을 뫼중앙에 꼿고, 젓가락을 정좌한 후 시접 그롯 위에 올려 놓으시오

⊙행사4

行 讀祝 禮 (행 독축례)

축문 읽는 예

1

大祝官 執祝版 跪於 獻官之左

(대축관 집축판 궤어 헌관지좌)

皆在位者俯伏 讀祝

(개재위자 부복 독축 )

대 축관은 축판을 들고 초헌관 좌측에 무릅을 꿇고, 모든 참사자는 부복하시오.

축문을 읽으시오.

2

興 大祝官 獻官再拜 跼躬

(흥 대축관 헌관 재배 국궁)

축관과 초헌관은 일어나 몸을 굽혀 두 번

절하시오.

3

拜 →興 拜→興 平伸 因降復位

(배 → 흥 배 → 흥) (평신 인강복위)

절하시오→일어나시오, 절하시오→일어나시오.

몸을 펴고 제자리에 바로 서시오

⊙행사5

行 亞獻禮 (행 아헌례)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예

1

亞獻官 詣盥帨位 因詣蹲所 跼躬

(아헌관 예관세위 인예준소 국궁)

1.아헌관은 손을씻고 신주앞에 손을 모으고

몸을 굽히시오

2

次詣香案 前跪 三上香

(차 예향안 전궤 삼상향 )

執事進奉 祖考妣位前盞 退酒他器

( 집사진봉 조고비위전잔 퇴주타기)

아헌관은 신주앞에 무릅을꿇고 향로에 향을 세번

피우시오

좌집사자는 할아버님,할머님 신주 앞 잔을 내려

퇴주그릇에 술을 붓고 잔반에 놓으시오.

3

復 斟酒跪授獻官 獻官受之 亦 除于茅上

(부 짐주궤수 헌관 헌관수지 역 제우모상)

小傾以授執事, 執事受之 奉奠 于故處,

(소경이수집사 집사수지 봉전 우고처)

進奉 祖妣位前盞 亦如之

(진봉 조비위 전잔 역여지)

아헌관이 할아버님 잔을들고 사준이 술을따르면

아헌관은 잔을 모상에 조금 기울인 다음 향로위를

지나 우집사자에게 주면 우집사는 술잔을 받아

할아버님 신주앞에 놓으시오.

다음 아헌관은 할머님 술잔을 올리시오

4

執事 進魚炙 于正箸于 匙楪上

(집사 진어적 우정저우 시접상)

우 집사자는 어적을 헌관에게 주었다가 다시 받아

올리시오. 좌 집사는 젓가락을 정좌 한 후 시접

그릇 위에 올려 놓으시오.

5

亞獻官 跼躬 再拜

(아헌관 국궁 재배 )

아헌관은 몸을 굽혀 두 번 절하시오

6

拜 → 興 拜 → 興 平伸 因降復位

(배 → 흥 배 →흥 ) (평신 인강복위)

절하시오→일어나시오, 절하시오→일어나시오.

몸을 펴고 제자리에 바로 서시오

⊙행사6

行 終獻禮 (행 종헌례)

세번째 술잔을 올리는예

1

終獻官 詣盥帨位 因詣蹲所 跼躬

(종헌관 예관세위 인예준소 국궁)

종 헌관은 손을 씻고 신주 앞에 손을 모으고 바로 몸을 굽히시오

2

次詣 香案 前跪 三上香

(차예 향안 전궤 삼상향)

執事 進奉 祖考妣位前盞 退酒他器

(집사 진봉 조고비위전잔 퇴주타기)

종 헌관은 신주 앞에 무릅을 꿇고 향로에 향을 세번 피우시오

좌 집사자는 할아버님,할머님 신주 앞 잔을 내려 퇴주그릇에 술을 붓고 잔반에 놓으시오.

3

復 斟酒跪授終獻官 終獻官受之

(부 짐주궤수종헌관 종헌관수지)

亦除于茅上 三傾至半盞 後 以授執事者

(역 제우모상 삼경지반잔 후 이수집사자)

執事受之 奉奠考于故處

(집사수지 봉전우고처)

次奉 祖妣位前 盞盤 亦如之

(차봉 조비위전 잔반 역여지)

종헌관은 무릎을 꿇고 술잔을 들고 사준이 술을 딸아주면 종 헌관은 술잔을 모상에 세 번 기울인 다음 반잔을 향로 위를 지나 우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는 잔을 받아 할아버님 신주앞에 올리시오.

다음은 할머님 술잔을 올리시오

4

執事 進 鷄炙 又正箸于 匙楪上

(집사 진 계적 우정저우 시접상)

집사는 계적을 종헌관에게 주었다가 다시 받아 신주앞에 올리고, 좌 집사는 젓가락을 정좌한후 시접 그릇위에 올려 놓으시오

5

終獻官 跼躬 再拜

(종헌관 국궁 재배 )

종 헌관은 몸을 굽혀 두 번 절하시오

6

拜 → 興 拜 → 興 平伸 因降復位

(배 → 흥 배 → 흥 평신 인강복위)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몸을 펴고 제자리에 바로 서시오

⊙행사7

行 添酌禮 (행 첨 작 례)

술잔을 첨작 하는 예

1

添酌官 詣盥帨位 次詣蹲所 跼躬

(첨작관 예관세위 차예준소 국궁)

첨 작관은 손을 씻고 신주 앞에 손을 모으고 몸을 굽히시오

2

次詣香案 前跪 三上香 執事 進奉 他盞盤

(차예향안 전궤 삼상향 집사 진봉 타잔반)

첨작관은 무릅을 꿇고 향로에 향을 세번 피우고, 집사는 첨작잔을 첨작관에게 주고 첨작관은 잔을 받아 들으시오

3

斟酒跪授獻官 獻官受之 還于香爐上

(짐주궤수헌관 헌관수지 환우 향로상)

以授執事 執事受之 添斟于

(이수집사 집사수지 첨짐우)

祖考妣位前盞 三傾至盡

(조고비위전잔 삼경지진)

첨작관이 무릎을 꿇고 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르고,  첨작관은 술잔을 들어 향로 위를 지나 우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술잔을받아 할아버님,할머님 신주앞 술잔에 세 번씩 나누어 첨작 하시오,

4

執事 又 正箸于 匙楪上

(집사 우 정저우 시접상)

좌 집사는 젓가락을 정좌한 후 시접 그릇위에 올려 놓으시오

5

添酌官 跼躬 再拜

(첨작관 국궁 재배 )

첨작관은 창에 따라 몸을 굽혀 두 번 절하시오

6

拜 → 興 拜 → 興 平伸 因降復位

(배 → 흥 배 →흥 평신 인강복위)

절하시오→일어나시오, 절하시오→일어나시오.

몸을 펴고 제자리에 바로 서시오

⊙행사8

行 獻茶 禮 (행 헌다 예)

갱물과 탕국을 교체 예

1

執事 進撤羹 進茶侑食 點茶

(집사 진 철갱 진다유식 점다)

집사자는 탕국과 갱물을 교체하여 올린 다음 밥을 갱물에 떠넣고 부드럽게 말으시오.

2

執事 又正箸于 匙楪上

(집사 우정저우 시접상)

좌 집사는 젓가락을 정좌한 후 시접 그릇 위에 올려 놓으시오

⊙행사9

行 闔門 禮 (행 헌다 합문 예)

부목의 예

1

獻官 及 諸執事以下在位者 進復位俛伏

(헌관 급 제집사이하재위자 진복위 면복)

헌관이하 모든 참사자는 엎드려 부복하시오.

2

肅竣小頃 一食九匙之頃 興-平伸

( 숙준소경 일식구시지경 흥 - 평신)

엄숙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잠깐 업드려 부목 하는데 밥을 아홉 숫가락 떠먹는 동안 있다가 일어나시오.

⊙행사10

行 辭神 禮(행 사신 예)

물러간다고 고하는 예

1

執事 進合飯蓋下 匙箸 退 盞盤

(집사 진 합반개하 시저 퇴 잔반)

집사자는 밥 뚜껑을덥고 숫가락과 젓가락을 내려놓고 술잔을 조금씩 물리시오.

2

獻官及 諸執事以下 在位者 皆復位辭神 跼躬

(헌관급 제집사이하 재위자 개복위사신 국궁)

헌관 및 모든 참사자는 무릅을 꿇고 두 번 절하시오.

3

拜→興 拜→興 平伸 因降復位 退出舊所

( 배→흥 배→흥 평신 인강복위 퇴출구소)

절하시오 - 몸을드시오

절하시오 - 몸을드시오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행사11

行 撤市覆飯 飮福禮 (행 철시복반 음복 예)

제물을 철시하고 음복하는예

1

各 出 退 所

(각 출 퇴 소)

모든 참사자는 물러나시오.

2

執事 進 撤饌 先撤 盞盤

(집사 진 철찬 선철 잔반)

大祝官 焚祝于 香爐上禮畢

(대축관 분축우 향로상예필)

집사자는 술잔과 반찬을 철수하고, 대축관은 향로에 축문을 태우시오.

3

執事進 初獻官之 左請白禮畢後

(집사진 초헌관지 좌청백예필후)

一齊 就他所 行 飮福受 胙禮

(일제 취타소 행 음복수 조예)

집사자 초헌관은 묘의 좌우를 살피고 다른 장소로 옴겨 음복예로 복받는 예를 행 하시오.

 

 

 3. 정간공 시제 축문

 

 c3-1.jpg

 

 

◈.관란시향축문(번역문)

 

을해년(서기2020년) 10월 2일(계해일)에 19대손 종갑이가 19대 할아버님이신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 의금부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 춘추관 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행 통훈대부 집현전직제학 시호 정간공 할아버님과 19대 할머님이신 증 정부인 영월신씨 묘소에서 감히 고합니다.

예문에도 있아온바 계절이 바뀌었기에 봉분을 단정히 하고 바라보니 그리워 사모하는마음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이에 삼가 맑은 술과 몇가지 음식을 차리고 공손한마음으로 세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여 주옵소서.

 

 

 

c3-2.jpg

 

 

◈.관란산신제춘문(번역문)

 

을해년(서기2020년)10월2일(계해일)에 19대손 종갑이가 감히 고합니다. 원종갑이 토지신에게 19대 할아버님이신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겸 지경연 의금부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 춘추관 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행 통훈대부 집현전직제학 시호 정간공 할아버님과 19대 할머님이신 증 정부인 영월신씨묘소에서 공손한 마음으로 세사를올리옵니다.

때때로 도우사 신의 보호의 도움에 힘입고저 여기 술과 안주로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옵소서.

 

 

 

c3-3.jpg

 

c3-4.jpg

 

 

모현제축문(번역문)

 

계미년(서기2003년) 3월 3일(정미)에 ○○○가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겸 지경연 의금부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지 춘추관 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행 통훈대부 집현전직제학 시호 정간공 원선생께 감히 고합니다.

충성을 다하여 임금을 생각하셨고 어려움을 견디어 정절을 굳게 지키셨으니 그밝음이 땅 속까지 들어가서 산의 높은 절개가 빛나셨도다.

모든 권력을 버리고 의를 택하여 조용히 어린 임금의 승하를 가엾이 여기시어 슬퍼하며 상복을 입고 남몰래 통곡하셨도다

수차례의 주어진 벼슬도 버리셨으니 그기풍과 가르침이 토실에 남아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어 후세에 빛나는 영예가 영원히 남도록 재실의 서품예를 밝게 밝히고 천거하는바입니다.

이에 맑은 술과 몇가지 음식을 차리고 공손한마음으로 세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여 주옵소서.

 

 

 

 

◈ 益興君,貞 簡 公 兩 位 陳 設 圖(익흥군,정간공 양위진설도)

c3-5.jpg

 

♣.棗栗梨柿(조율이시)의 뜻:대추,밤,감,배 차례로 차린다.

⊙.棗;임금(씨가한개로)

⊙.栗;삼정승(밤이세톨)-영의정,좌의정,우의정

⊙.梨;육방관속(씨가여섯개)-吏房,戶房,禮房,兵房,刑房,工房

⊙.柿;8도관찰사(씨가여덟개)-경기도,강원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함경도,황해도,평안도

♣. 紅東白西(홍동백서)의 뜻: 붉은 것은 동쪽 하얀 것은 서쪽에 차린다.

♣. 魚東肉西(어동육서) 의 뜻: 물고기는 동쪽 고기는 서쪽으로 차린다.

♣. 左脯右醯(좌포우혜) 의 뜻: 왼쪽에는 마른거(명태포) 오른쪽에는 식혜를 차린다.

♣. 頭西眉東(두서미동) 의 뜻: 생선머리는 서쪽을 향하게 꼬리는 동쪽을 향하게 차린다.

♣. 麪西餠東(면서병동) 의 뜻: 국수 붙이는 서쪽 떡 종류는 동쪽에 차린다.

♣. 飯西羹東(반서갱동) 의 뜻: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차린다.

♣. 背腹方向(배복방향) 의 뜻: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하게 차린다

♣. 숙서생동: 나물은 서쪽 김치는 동쪽에 놓는다.

♣. 건좌습우: 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 좌반우갱: 메(제사밥)는 서쪽 갱(국)은 동쪽에 놓는다.

♣. 접동잔서: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는다.